본문 바로가기
분석심리학 공부

분석심리학 - 모래놀이 방법의 개요

by 또또리타 2025. 3. 7.
반응형

이번 시간에는 모래놀이 방법의 개요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융심리학에서 말하는 전통적 치료 형태는 꿈분석인데요, 분석과정에서 인간의 의식 간의 대화를 함으로써 하나씩 풀어나가게 됩니다. 분석가는 그런 대화를 통하여 그때까지 무의식적이고 몰랐던 개인 인격의 한 부분, 그리고 집단무의식에서 비롯된 내용까지 나아갈 통로들을 발견하게 됩니다. 아래에서는 모래놀이 방법의 개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모래놀이 방법의 개요

  • 전이와 역전이의 현상은 분석가와 피분석자가 함께 긴밀하게 협동하는 일회성 상황이므로 자연히 둘이 공동으로 작업하게 됩니다. 융 심리학적 분석은 언제나 분석가와 피분석자 둘이 만나서 함께 작업하는 과정이 됩니다.
  • 전이나 역전이는 분석가와 피분석자 간의 대화에서 자주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왜냐하면 분석은 말로 하는 치료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이 때 분석가의 인격은 언어의 힘과 권위를 통해 분석 내내 어떤 특정의 방식으로 발휘하게 될 것이 틀림없습니다. 피분석자는 자신의 언어적 능력을 가능한 좋게 발휘하려 할 것이고, 또한 자신의 실제적 본질을 뒤로 감추기 위해 언어적 능력을 악용할 수도 있습니다. 언어란 분명 인간을 표현하는 하나의 가능성이지만, 그것은 특별히 합리적 의식성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 정서와 감정이 우리에게 깊이 감추어져 있을수록, 우리의 기억들은 무의식으로 더 깊이 침잠하게 됩니다. 혹은 의식으로부터 개인 인격의 부분이 멀어져 있으면 있을수록 우리는 더욱더 그에 대해 말로 표현하기가 어려워집니다. 특히 손은 우리의 내면세계와 외면세계를 잇는 다리의 역할을 합니다. 우리는 손으로 쓰다듬고, 애무하더나 때릴 수 있으며, 일을 하고, 처리하고, 변하게 하고, 창조적으로 형상화 할 수도 있습니다. 손은 정신과 물질을 잇는 매개자이고, 내면적 표상과 구체적 창조에 이르에 하는 매개자입니다. 손을 통하여 존재하고 있던 에너지가 드러나게 됩니다.
  • 결국 심혼의 무의식적 심연에서 작용하는 힘을 손으로 작업하여 창조적인 형상으로 드러나게 하고 그래서 알려질 수 있었다는 사실, 그리고 손으로 내면과 외면, 정신과 물질을 하나로 만들게 된다는 사실이 모래놀이를 치료적 방법으로 적용하는 근거가 됩니다. 모래놀이에서 모래에 드러나는 것을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다루지만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습니다. 또한 합리적 해석도 가하지 않습니다. 모래상자는 거기에서 일어난 것을 보호하고, 지키는 공간적 틀입니다. 피분석자는 마른 모래나 적은 모래로 형상화를 시도하는데, 이는 바로 그 시간에 배열된 자신의 개인적 세계에 상응하는 모형들을 내세우게 되는 것입니다. 

 

 

모래놀이 분석을 받던 때가 떠오릅니다. 본연의 아이로 돌아간 것처럼 자유롭고 즐겁게 모래를 만지고 놀면서 형상을 만드는 그 시간이 정말 충만하고 행복했었습니다. 지금도 모래의 사락거리는 감촉이 생각나는것 같습니다. 날이 좋아지면 아이와 함께 놀이터에서 모래놀이를 하고싶은 마음이 드는 날입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