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자기의 모든 것

청화백자 진사채 복숭아모양 연적에 대하여

by 국중박씨 2024. 10. 4.

청화백자 진사채 복숭아모양 연적을 보신적 있나요? 귀여운 복숭아 모양에 위에는 귀여운 매미가 살짝 붙어 있습니다. 연적은 서예나 문인들의 필수적인 문방구로, 먹을 갈 때 물을 담아두는 용도로 사용되었습니다. 왜 복숭아 모양으로 만들었을까요? 형태와 시대, 특성까지 자세히 정리했습니다.

 

1. 기본 사이즈와 형태

  • 사이즈: 청화백자 진사채 복숭아모양 연적의 크기는 보통 높이 10.8cm, 밑지름 6cm 입니다. 이 연적은 작은 크기의 도자기로, 손에 쥘 수 있을 만큼 아담한 크기입니다.
  • 형태: 이 연적은 복숭아 모양으로 제작되었으며, 복숭아는 중국과 한국에서 장수와 불로(不老)를 상징하는 과일입니다. 연적의 전체적인 형태는 자연스러운 복숭아의 곡선을 본떠서 만들었으며, 표면에는 줄기와 잎이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 구조: 연적의 상단 부분에 물을 넣는 작은 구멍이 있으며, 물이 쉽게 흘러나오지 않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복숭아 모양 외부에 청화(푸른색)로 무늬가 그려져 있으며, 진사채(붉은색 유약)가 부분적으로 칠해져 있습니다.

 

2. 시대

  • 제작 시기: 청화백자 진사채 복숭아모양 연적은 조선 후기(18~19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시기는 조선시대 도자기 제작 기술이 절정에 달했던 시기로, 특히 진사채 기법과 청화백자 기법이 결합된 연적이 많이 만들어졌습니다.
  • 연적의 사용: 연적은 서예나 문인들의 필수적인 문방구로, 먹을 갈 때 물을 담아두는 용도로 사용되었습니다. 조선시대 문인들의 일상에서 연적은 단순한 도구가 아닌 예술적 장식품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지녔습니다.

 

3. 특성

  • 청화와 진사채 기법의 결합: 이 연적은 청화(靑畵)와 진사채(辰砂彩)가 함께 사용된 도자기입니다. 청화는 푸른색 코발트 안료로 그림을 그려 구워낸 것이며, 진사채는 붉은색을 내는 안료로 고온에서 구워내면 특유의 진한 붉은색이 도자기에 나타납니다. 이 연적은 주로 복숭아의 줄기와 잎에 청화를 사용하고, 복숭아의 열매 부분에 진사채로 붉은색을 입혀 아름다운 대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 복숭아의 상징성: 복숭아는 동아시아에서 오래전부터 장수와 건강을 상징하는 중요한 도상입니다. 특히 조선시대 문인들이 복숭아 연적을 선호한 이유는 단순한 도구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복숭아 연적은 문인들의 장수와 건강을 기원하는 의도와 함께 사용되었습니다.
  • 예술성과 실용성의 결합: 연적은 문방구로서 실용성을 갖추었지만, 예술적인 조형미도 뛰어난 기물로서 제작되었습니다. 복숭아 연적은 조선 후기 도자기에서 특히 선호된 형태로, 당시의 미적 감각과 실용성을 결합한 대표적인 작품입니다.

 

4. 고고학적인 의미

  • 청화백자 진사채 복숭아모양 연적은 조선 후기 도자기 예술의 다양성과 기법적 완성도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입니다. 특히 청화와 진사채 기법이 함께 사용된 점은 당시 도자기 제작 기술의 복합성과 미적 감각을 보여줍니다.
  • 복숭아 연적은 서예와 문인화가 발달한 조선 후기의 문인 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문인들은 단순히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리는 것 이상의 예술적 감각을 일상 생활에 접목했으며, 연적과 같은 도구는 그러한 문화적 흐름의 일환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녔습니다.
  • 이 연적은 조선 후기 문방구 문화와 관련된 중요한 자료로, 당대의 문인들이 사용한 기물의 형태와 그들의 미적 취향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됩니다.

 

5. 발굴 장소 및 시기

  • 발굴 장소: 청화백자 진사채 복숭아모양 연적은 주로 경기도 광주 일대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경기도 광주는 조선시대 백자와 청자 도자기 생산의 중심지였으며, 왕실과 사대부층이 사용하는 고급 도자기들이 주로 이곳에서 만들어졌습니다.
  • 발굴 시기: 이 연적의 구체적인 발굴 기록은 전해지지 않지만, 20세기 중반 이후 경기도 광주, 전라남도 강진 등의 가마터에서 다양한 조선시대 연적들이 발굴되었습니다. 특히 청화백자와 진사채 연적들이 함께 발견되었으며, 그중 복숭아 연적도 다수 포함되었습니다.

 

6. 관련 에피소드

  • 에피소드: 청화백자와 진사채 기법을 결합한 연적들은 발굴 당시 보존 상태가 매우 좋았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습니다. 특히 복숭아모양 연적은 당시 사대부 계층의 문방구로 사용된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어, 생활 도구이자 예술품으로서의 기능을 잘 보여줍니다.
  • 연적의 보존 상태는 고려청자나 조선백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좋은 편이었으며, 이는 연적이 주로 실내에서 사용되었고 비교적 조심스럽게 다루어졌기 때문입니다. 복숭아모양 연적도 발굴 당시 특별한 복원 작업 없이 원형 그대로 보존된 사례로, 그 예술성과 실용성을 동시에 증명하는 유물로 평가되었습니다.

 

7. 현재 소장처

  • 청화백자 진사채 복숭아모양 연적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조선 후기 문방구를 주제로 한 특별전에서 이 연적을 소개한 바 있으며, 당시 문인 문화와 도자기 예술의 융합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로 전시되었습니다. 

 

복숭아는 중국과 한국에서 장수와 불로(不老)를 상징합니다. 또한, 조선 후기 문인들의 미적 감각과 생활 문화를 동시에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로, 기증자들의 헌신 덕분에 오늘날까지 잘 보존되고 전시되고 있습니다.